//알고리즘 1. 재귀, 시뮬레이션 -> 중복순열로 해결가능 2. 시뮬레이션 문제이기 때문에 주어진 조건에 맞춰 해결. 3. 모든 경우를 다 해봐야 하기 때문에 재귀로 해결 더보기 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 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 public class 벽돌깨기재귀 { static int T, N, W, H, ans, point, map[][]; // H x W 배열 static int[] dr = { 1, -1, 0, 0 }; static int[] dc = { 0, 0, 1, -1 }; public static void mai..
프로젝트를 하던 도중 객체배열을 emit과 props로 다른 컴포넌트에 넘기는 경우가 있어서 watch를 이용함 처음 객체배열의 값이 들어올 때는 watch가 잘 작동하는 것을 볼 수 있음 하지만 객체배열내부의 값이 변경되었을 경우 watch가 작동하지않음...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구글링 결과 watch의 속성중 속성 내부의 변경을 감지해주는 속성이 있음. watch - deep 속성 사용 예) watch의 deep 속성을 이용하여 객체배열의 내부값의 변경을 감지할 수 있음.
//알고리즘 1. 시뮬레이션 2. 한번에 모든 원소를 다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Queue를 사용 3. 3차원 배열로 값을 저장하여 해결 ※ 공간복잡도를 계산해보고 사용하는걸 추천. 더보기 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 import java.util.LinkedList; import java.util.Queue; 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 public class 미생물격리 { static int T, N, M, K, map[][][], Ans; static int[] dr = { 0, -1, 1, 0, 0 }; // 1~4 상하좌우 sta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