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// 알고리즘
1. 탐색문제
-> 최단 거리를 구하기 때문에 BFS 탐색
2. 고슴도치는 물이 찰 예정인 칸으로 이동할 수 없다. 는 조건
-> 물웅덩이 부터 탐색을 시작함
3. 물웅덩이와 고슴도치의 이동을 다르게 봐야하기 때문에 3차원 방문배열 사용
4. 물웅덩이 1 사이클 => 고슴도치 1 사이클 씩 번갈아가면서 탐색
-> 각각 어레이리스트를 만들어 다음번 시행되어야할 위치를 큐에넣지말고 어레이리스트에 저장
-> 한 사이클(while)이 끝나면 저장된 어레이리스트를 큐에 집어넣고 리스트 초기화
5. 도착할 때 까지 무한으로 실행
-> 탈출 조건은 고슴도치가 도착점에 도달하지 못하고 이동할 곳도 없을 경우 (큐의 사이즈가 0일 때)
더보기
package baekjoon;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IOException;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import java.util.ArrayList;
import java.util.LinkedList;
import java.util.Queue;
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
public class 탈출_3055 {
static char[][] map;
static int R, C, ans, r, c;
static int[] dr = { 1, -1, 0, 0 };
static int[] dc = { 0, 0, 1, -1, };
static boolean[][][] v;
static Queue<Point> q, water;
static ArrayList<Point> wList, sList;
static class Point {
int r, c, cnt;
public Point(int r, int c) {
super();
this.r = r;
this.c = c;
}
public Point(int r, int c, int cnt) {
super();
this.r = r;
this.c = c;
this.cnt = cnt;
}
}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StringTokenizer 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, " ");
R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C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map = new char[R][];
v = new boolean[2][R][C];
q = new LinkedList<Point>();
water = new LinkedList<Point>();
wList = new ArrayList<Point>();
sList = new ArrayList<Point>();
for (int i = 0; i < R; i++) {
map[i] = br.readLine().toCharArray();
}
// 알고리즘
for (int i = 0; i < map.length; i++) {
for (int j = 0; j < map[i].length; j++) {
if (map[i][j] == 'S') {
v[0][i][j] = true;
q.add(new Point(i, j, 0));
} else if (map[i][j] == '*') {
v[0][i][j] = true;
v[1][i][j] = true;
water.add(new Point(i, j));
}
}
}
bfs();
System.out.println(ans == 0 ? "KAKTUS" : ans);
}
private static void bfs() {
while (true) {
// 물 먼저
Point w = null;
while (!water.isEmpty()) {
w = water.poll();
for (int k = 0; k < 4; k++) {
int nr = w.r + dr[k];
int nc = w.c + dc[k];
if (nr < 0 || nc < 0 || nr >= R || nc >= C || v[1][nr][nc])
continue;
if (map[nr][nc] == 'D' || map[nr][nc] == 'X')
continue;
v[0][nr][nc] = true;
v[1][nr][nc] = true;
wList.add(new Point(nr, nc));
}
}
water.addAll(wList);
wList.clear();
// 고슴도치
Point d = null;
while (!q.isEmpty()) {
d = q.poll();
for (int k = 0; k < 4; k++) {
int nr = d.r + dr[k];
int nc = d.c + dc[k];
if (nr < 0 || nc < 0 || nr >= R || nc >= C || v[0][nr][nc] || v[1][nr][nc])
continue;
if (map[nr][nc] == 'X') continue;
if (map[nr][nc] == 'D') {
ans = d.cnt + 1;
return;
}
v[0][nr][nc] = true;
sList.add(new Point(nr, nc, d.cnt + 1));
}
}
q.addAll(sList);
sList.clear();
if (q.size() == 0)
break;
}
}
}
※ 3차원 방문배열을 사용하는 탐색에 한 사이클씩 돌려야하는 문제라 지금 까지 풀어봤던 문제 2~3개를 섞어논듯한 문제였다. 다행히 비슷한 유형의 문제를 많이풀어봐서 풀이시간은 30~40분정도로 짧게 끝남.
탐색문제의 실력을 체크하기에 좋은 문제라고 생각한다.
'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_연구소 3_17142 (0) | 2020.12.29 |
---|---|
백준_방 번호_1475 (0) | 2020.12.28 |
백준_패션왕 신한빈_9375 (0) | 2020.12.25 |
백준_트리의 부모 찾기_11725 (0) | 2020.12.24 |
백준_공유기 설치_2110 (0) | 2020.12.22 |